울릉도와 독도를 지키려는 조선 시대 안용복의 활동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고려 시대에 이어 조선 시대에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울릉도와 독도를 우리의 영토로 생각하였어요. 또한 울릉도에 살면서 울릉도 주변을 비롯해 독도에서 물고기 잡이를 하는 어민들도 많았어요.
그러나 조선 초 태종 때 울릉도, 독도를 비롯해 여러 섬에 사는 주민들을 섬에서 나오게 한 뒤 육지에 살게 했어요. 왜냐하면 왜구, 즉 일본 해적들이 자주 노략질을 해 우리 주민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죠. 또한 섬으로 숨어들어 세금을 내지 않는 죄인들도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어요.
이렇게 울릉도와 독도의 주민들을 나오게 해서 육지에 살게 하는 정책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졌어요. 한편 동래(지금의 부산) 어부였던 안용복은 1693년 동료 어부들과 울릉도에 가서 물고기를 잡던 중 일본 어부들이 함부로 울릉도에 들어와 있는 것을 발견하였어요.
안용복은 일본 어부들에게 조선 땅을 침범해 온 것을 따졌고, 이 과정에서 싸움이 벌어졌어요. 인원이 모자랐기 때문에 안용복은 일본 어부들에게 붙잡혔고, 일본 어민들에 의해 일본 오키섬으로 끌려갔어요.
그러나 안용복은 전혀 위축되지 않고 오키섬의 관리에게 일본 어민의 불법적인 행동을 당당하게 말했어요. 또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임을 주장했어요. 결론을 내리지 못한 오키섬의 관리는 안용복을 요나고(현재 돗토리 지역)로 보냈어요. 이곳에서도 안용복은 같은 주장을 거듭했고 자신을 납치한 행위에 대해 항의했어요.
일본 관리에게 항의하는 안용복
요나고의 관리는 당시 일본의 중앙 정부인 에도 막부에 안용복의 처리 문제를 문의했어요. 막부는 안용복을 쓰시마섬을 거쳐 조선에 돌려보내도록 하는 한편 “울릉도는 일본의 영토가 아니다.”라는 글을 써주도록 했어요. 그런데 이 글을 돌아오는 길에 나가사키에서 일본 관리에게 빼앗겼다고 해요.
이때부터 조선과 일본은 울릉도와 독도를 두고 서로 자국의 땅이라고 주장하며 영유권을 다투는 일이 벌어졌어요. 결국 2년이 넘는 조사와 논쟁 끝에 일본의 에도 막부는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인정하였어요. 그리고 일본 어민들이 울릉도에 가지 못하도록 명령을 내렸어요.
한편 동래로 돌아온 안용복은 조선의 정부로부터 허가도 받지 않고 일본에 갔다는 이유로 2년 동안 감옥에 갇혔어요. 2년 후 풀려나온 안용복은 일본 에도 막부의 명령이 잘 지켜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어부, 승려 등 10여 명과 함께 울릉도와 독도를 가보았어요. 거기서 일본 물고기잡이 배를 본 안용복은 크게 소리쳤어요.
“너희들은 왜 다른 나라 땅에서 허락도 받지 않고 불법적으로 물고기잡이를 하는가?”
안용복의 소리를 들은 일본 어선들은 도망가기 시작했어요. 안용복은 그들을 쫓아 일본 호키주(현재의 시마네현)까지 가서 일본 관리를 만났어요. 당시 안용복은 조선 관리들의 옷을 입은 채 울릉도를 감독하는 관리라고 말하고, 가지고 간 조선팔도지도를 보여주며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의 강원도에 속한 섬이라는 것을 설명하였어요.
결국 일본 에도 막부는 일본 어민들에게 울릉도와 독도의 출입을 다시 한번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어요.
안용복의 활약 덕분에 1696년 쓰시마섬을 다스리는 도주가 일본 어민의 울릉도 출입을 금지하였어요. 또한 1698년 조선 정부는 에도 막부로부터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땅이라는 것을 인정받았고, 일본 어민의 물고기잡이도 금지한다는 약속을 받았어요.
다케시마(울릉도) 도해금지령
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