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와 왕실에서 행사를 치를 때 만든 의궤
컨텐츠 정보
- 28 조회
-
목록
본문
조선 시대에도 국가적으로 큰 행사가 많았어요. 국왕이 혼인을 하고, 세자가 태어나고, 죽어서 장례를 치르는 것이 모두 중요한 일이었지요. 조선에서는 유교 전통에 따라 예법과 절차를 중요시했기 때문에, 각종 행사가 있을 때마다 의궤를 만들어 그 상세한 절차, 비용, 동원 인력 등을 세세히 기록해 두었어요. 물론 나라에서 성곽과 궁궐을 짓고 보수할 때에도 의궤를 제작했어요.
의궤란 ‘의식’과 ‘궤범(규범이라는 의미)’을 하나로 더한 말이에요.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의례 행사에서 본보기가 되는 규범’이란 뜻이지요. 그래서 ‘의궤’라는 말에는 후손들이 같은 행사를 치를 때, 이전에 만들어 놓은 의궤를 참고하여 실수 없이 행사를 치르라는 의미도 담겨 있어요.
또한 먼 훗날까지 예법에 맞는 올바른 절차를 생생하게 전하겠다는 마음도 포함되어 있어요. 국가의 큰 행사가 있을 때 이전에 만들어 놓은 의궤를 살펴보면 빠뜨리는 것 없이 잘 치를 수 있었겠죠?
한편, 국왕의 명령이 적힌 문서, 각 업무와 관련해서 관청이나 관리가 주고받은 여러 가지 문서도 의궤에 수록돼요. 또한 담당자와 행사나 건축 공사에 동원된 사람들의 명단, 사용된 물품의 수량과 비용 등도 의궤에 포함되지요. 뿐만 아니라 행사 후 남은 물건을 되돌려준 사실 등 시시콜콜한 것까지 들어갔어요.
의궤에는 글만 기록한 것이 아니었어요. 행사에 쓰이는 물품이라든지 공사에 활용된 기계를 그린 그림도 수록되어 있어요. 간혹 그림으로 된 행렬도가 그려지기도 해요.
이 행렬도를 반차도라고 말하는데, 반차도는 각종 국가 행사 때 관리들이 정해진 순서대로 행렬을 따라가고 있는 모습을 그렸어요. 의궤를 보면, 수십 쪽에 걸쳐서 반차도 행렬이 펼쳐지기도 해요. 반차도를 보고 있노라면 자신이 그 행사에 참여하고 있는 듯한 생생한 느낌을 받는답니다.
정조 화성 행차 반차도
국립중앙박물관
위에 있는 반차도는 조선 시대 정조가 수원 화성으로 행차하는 모습을 그린 의궤의 일부입니다. 정조를 호위하고 따르는 문신 관리, 무신 관리 등이 상세하게 그려져 있죠? 이 반차도를 보면서 관리들은 자기 자리를 확인하고 예행연습을 했을 거예요.
의궤는 조선시대에 행해진 국가 의례, 건축 공사와 같은 큰 행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에요. 의궤를 보면, 당시 국왕의 결혼식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고 전쟁으로 파괴된 성곽도 원래 모습대로 복원할 수 있지요.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에는 의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어요. 지금부터 조선시대 의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