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8월 9일, 드디어 올림픽의 꽃이라고 불리는 마라톤 경기가 열리는 날이에요. 올림픽 주경기장을 가득 채운 관중들의 함성이 높았어요.50여 명의 마라톤 선수들이 긴장한 채 출발선에 섰어요. 그 틈에 손기정 선수와 남승룡 선수도 있었지요. 손기정은 ‘손기테이’라는 이름으로 일장기를 달고 출전했지요. 드디어 신호와 함께 그는 출발했어요. 42.195km를 달리는 동안 발은 퉁퉁 부어오르고, 머리가 지끈거리기도 했어요. 하지만 있는 힘을 다해 뛰었어요.“와, 드디어 선수가 들어온다.”경기장 안을 가득 메우고 있던 관중들이 박수를 치며 일어났고, 나팔수들은 나팔을 불었어요. 마라톤 우승자인 손기정 선수가 들어오고 있었거든요.“2시간 29분 19초 2!”세계신기록이었어요. 그를 이어 3위로 남승룡 선수도 들어왔어요. 손기정은 너무도 감격스러웠어요. 하지만 곧이어 깊은 슬픔이 밀려왔지요. 일장기를 단채, 월계관을 쓰고 우승 메달을 받아야 하니 말이에요.결승선을 통과하는 손기정 선수한국학중앙연구원사실 손기정의 우승은 우리 민족에게만 특별한 것은 아니었어요. 베를린 올림픽은 독일의 나치 정권을 이끈 히틀러가 자기 민족의 우월성과 나치의 권위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연 대회에요. 그런데 올림픽의 꽃인 마라톤 경기에서 유럽계 백인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