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기정

일장기를 달고 베를린 올림픽에서 우승하다

컨텐츠 정보

본문

1936년 8월 9일, 드디어 올림픽의 꽃이라고 불리는 마라톤 경기가 열리는 날이에요. 올림픽 주경기장을 가득 채운 관중들의 함성이 높았어요.


50여 명의 마라톤 선수들이 긴장한 채 출발선에 섰어요. 그 틈에 손기정 선수와 남승룡 선수도 있었지요. 손기정은 ‘손기테이’라는 이름으로 일장기를 달고 출전했지요. 드디어 신호와 함께 그는 출발했어요. 42.195km를 달리는 동안 발은 퉁퉁 부어오르고, 머리가 지끈거리기도 했어요. 하지만 있는 힘을 다해 뛰었어요.


“와, 드디어 선수가 들어온다.”


경기장 안을 가득 메우고 있던 관중들이 박수를 치며 일어났고, 나팔수들은 나팔을 불었어요. 마라톤 우승자인 손기정 선수가 들어오고 있었거든요.


“2시간 29분 19초 2!”


세계신기록이었어요. 그를 이어 3위로 남승룡 선수도 들어왔어요. 손기정은 너무도 감격스러웠어요. 하지만 곧이어 깊은 슬픔이 밀려왔지요. 일장기를 단채, 월계관을 쓰고 우승 메달을 받아야 하니 말이에요.


b55ad029fbf32e7e8714ba206da7293e_1746455880_5795.JPG
결승선을 통과하는 손기정 선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실 손기정의 우승은 우리 민족에게만 특별한 것은 아니었어요. 베를린 올림픽은 독일의 나치 정권을 이끈 히틀러가 자기 민족의 우월성과 나치의 권위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연 대회에요. 그런데 올림픽의 꽃인 마라톤 경기에서 유럽계 백인이 아닌 이른바 유색 인종이 우승하는 바람에 히틀러의 꿈은 산산조각이 났지요.

시상대에 오른 손기정은 손에 든 월계수 나무로 일장기를 가렸어요. 고개를 떨구고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일본 국가를 들어야 했지요. 그의 얼굴에서 우승자의 기쁜 표정을 찾아볼 수 없었어요. 하지만 그는 경기가 끝난 후 외국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당당히 한국 선수임을 알렸어요.


“나는 일본인이 아닌 한국인이오. 한국에서 왔소.”



b55ad029fbf32e7e8714ba206da7293e_1746455932_7985.JPG
일장기를 지우고 내보낸 사진(좌)과 시상식 때의 실제 사진(우)

국사편찬위원회




며칠 후 국내에 있던 신문사들은 바빴어요. 손기정과 남승룡 선수가 이룬 기쁜 소식을 전하기 위해서 말이에요. 그런데 여운형이 사장으로 있던 조선중앙일보는 일장기를 흐리게 해서 사진을 내보냈어요. 다음날 동아일보는 아에 손기정 선수의 시상식 사진에서 일장기를 지워버렸어요.

이 일로 조선 총독부는 조선중앙일보의 문을 닫게 했고, 동아일보도 얼마 동안 신문을 내지 못하게 했지요. 뿐만 아니라 손기정 선수도 손에 든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렸다는 이유로 경기에 나갈 수 없게 되었고, 심지어 일제의 감시를 받아야 했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