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나라의 소망이 담긴 고구려의 불상
컨텐츠 정보
- 20 조회
-
목록
본문
고구려의 대표적 불상으로 국보 제119호인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이 있어요. 높이가 16.2cm로 매우 작은 불상이에요. ‘금동’은 청동에 얇게 금을 입혀 만든 것을 말해요.
그런데 왜 불상에 금을 입혔을까요? 금은 매우 귀한 금속이에요. 부처를 보통 사람과 다른 귀한 모습으로 표현한 것이에요. 이 불상 뒷면에는 ‘연가 7년’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어요.
여기서 ‘연가’는 고구려가 쓰던 연호에요. 그래서 이 불상의 이름에 ‘연가 7년명(銘)’이 붙었어요. ‘연가 7년명’은 ‘연가 7년이 새겨진’이라는 의미에요. 여래는 부처님을, 입상은 서 있는 모습을 말해요. 이대로 이름을 풀이해 보면 연가 7년이 새겨진 금동으로 만든 부처님의 서 있는 모습의 조각상이라 할 수 있지요.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의 앞면과 뒷면
문화재청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은 뒷면에 새겨진 글 때문에 사람들이 여러 가지 사실들을 알 수 있었어요. ‘연가 7년’이란 글자로 이 불상이 신라의 영토인 경상남도 의령에서 발견되었지만, 고구려에서 만들었음을 알 수 있지요. 또한 6세기에 고구려의 힘이 신라에까지 미쳤음을 알 수 있지요.
또 ‘1,000개의 불상 중 29번째’라고 적혀 있어 이 불상이 평양 동사라는 절의 승려 등 40명이 세상에 널리 퍼뜨리고자 만든 1,000개의 불상 가운데 29번째 불상임을 알 수 있어요.
이 밖에 고구려 불상으로 ‘금동 신묘명 삼존불 입상’이 있어요. 부처님의 빛을 상징하는 광배 하나에 본존불과 좌우보살상이 조각된 삼존불의 형식이에요. 광배 뒷면에는 다섯 사람이 모여 그들의 스승과 부모를 위해 이 불상을 만들었다는 글이 새겨져 있어요.
고구려 사람들은 불상에 글자를 새겨 간절한 소망을 담았어요. 불상을 1,000개 만들어 온 세상이 부처님 나라가 되기를 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