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세워지다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1910년 일제는 우리의 국권을 빼앗고 대한 제국을 자신들의 손아귀에 넣어버렸지요. 이후 독립운동가들은 나라를 되찾기 위해 국내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벌였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어요.
그러던 중 3·1 운동이 일어났어요. 전국 방방곡곡의 온 국민이 참여한 대규모 만세 운동에 일제는 깜짝 놀랐어요. 사람들은 만세 운동을 벌이며 독립운동을 이끌어 갈 정부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요.
그 결과 한성(서울)과 연해주, 상하이 등에 정부가 들어섰어요. 이후 세 곳에 흩어져 있는 정부를 하나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지요. 여러 사람들의 노력으로 1919년 9월에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 합쳐졌어요. 당시 임시 정부가 자리 잡은 곳은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지였지요. 조계지는 프랑스 경찰이 치안을 담당하는 지역으로 일본 경찰이 함부로 들어올 수 없는 지역이었어요. 일본의 눈을 피해 독립운동을 하기 유리한 곳이었어요.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나라 이름을 대한 제국을 잇는다는 의미에서 ‘대한’, 국민의 나라라는 뜻에서 ‘민국’ 이라고 했어요. 행정부에 해당하는 임시 정부, 국회 역할을 하는 임시 의정원, 그리고 법원이 있었어요. 지금과 똑같이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로 구성된 정부였지요. 헌법(대한민국 임시 헌장)도 만들었어요. 임시 헌장 제1조가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제로 한다’는 내용이었어요.
지금과 같은 내용이라고요? 그렇답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대한민국의 출발이었지요. 그리고 제2조에서는 임시 의정원의 결의에 의하면 임시 정부가 통치한다”고 규정하였어요. 이것은 국민의 뜻을 대변하는 의회의 역할과 근대적 입법·행정기관의 분권을 분명하게 밝힌 것입니다.
하지만 1932년 이봉창 의거 이후 일본이 상하이를 침략하였고, 이후 윤봉길 의거로 일본이 강하게 압박하는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더 이상 상하이에 머물 수 없었어요. 어쩔 수 없이 탈출해 항저우를 거쳐 친장으로 이동했어요.
1937년 일본이 중일 전쟁을 일으키고, 중국 본토를 적극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했어요. 임시 정부는 이후 임시 정부를 돕기로 약속한 국민당 정부를 따라 창사, 광저우 등을 거쳐 충칭으로 옮겨갔어요. 이 과정은 정말 힘든 고난의 연속이었어요. 이 과정은 정말 힘든 고난의 연속이었어요. 임시 정부는 머물렀던 곳에 따라 상해 시기(1919~1932), 이동 시기(1932~1940), 충칭 시기(1940~1945)로 구분해요.
지금부터 머나먼 중국 땅에서 여러 번 청사를 옮기며, 항일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대해 살펴보아요. 또 27년간의 고된 이동 생활 속에서 임시 정부 사람들이 무엇을 꿈꾸었는지도 알아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