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대장경판을 만들다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고려 현종 때 거란이 쳐들어오자 고려 사람들은 대장경판을 만들었어요.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경이지요. 이때 만들어진 대장경을 ‘처음 만든 대장경’이라는 뜻으로 초조대장경이라고 해요. 그런데 고려는 혼란스런 전쟁 중에 대장경판을 왜 만들었을까요?
고려는 불교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나라에요. 왕부터 백성까지 모두 불교를 믿었지요. 그래서 고려는 절을 짓거나 탑을 쌓는 등의 불교 사업을 통해 백성들의 마음을 한곳으로 모으곤 하였지요. 또한 나라에 어려움이 생기면 부처님의 힘으로 이를 이겨내려고 하였지요.
“대장경을 판각하여 불법의 보호로 외적을 물리치게 하소서.”
거란의 침입은 고려에게 큰 위기였어요. 고려는 거란과 맞서 싸우는 한편 대장경을 나무판에 새겼어요. 고려 사람들은 대장경 판각이 부처님 말씀을 널리 전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나라를 지켜 준다고 믿었어요. 그래서 고려는 전쟁 중에도 힘든 대장경 판각을 통해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자 하였던 것이지요. 이 덕분인지 몰라도 다행히 고려는 거란을 물리칠 수 있었어요.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구의 부인사에 보관되어 있던 초조대장경은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 없어졌어요. 이 일은 고려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어요. 고려를 지켜 주던 대장경이 불타 버렸으니 몽골군을 막을 힘이 없어졌다고 생각하였지요.
고려는 다시 대장경을 새기기로 하였어요. 당시 무신 정권은 대장경판을 만들면서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용기를 북돋아 몽골과의 항쟁을 계속 이어 가고자 하였어요. 고려 사람들은 대장경을 새기며 빌었어요. 예전에 대장경을 새겨 부처님의 힘으로 거란군을 물리친 것처럼 이번에도 대장경을 새기니 몽골군을 물리쳐 달라고 말이지요.
귀족에서 부녀자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대장경판 제작에 스스로 참여하였어요. 어떤 사람은 재물을 시주하고, 어떤 사람은 직접 글자를 새기는 일을 하였지요. 나라 사랑하는 마음과 불교를 믿는 마음이 깊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일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