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보상 운동이 대구에서 시작되다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영국, 미국과 비밀 조약을 맺었어요. 그 내용은 일본이 대한 제국을 보호국으로 만드는 것에 미국과 영국이 동의한다는 것이었죠.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한 제국에 대한 청과 서양 강대국의 간섭을 모두 차단했어요. 그리고 노골적으로 우리나라의 국권을 빼앗기 시작했어요. 특히 대한 제국의 경제력을 빼앗기 위해 국채를 도입하도록 했어요.
청일 전쟁 이후 도입되기 시작한 국채는 1905년 ‘을사늑약’으로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긴 후 더욱 늘어났어요. 일본은 대한 제국에 여러 편리한 시설을 만든다는 핑계로 많은 돈을 빌려주었지만 사실은 항구나 철도 등 자신들에게 필요한 통치 시설을 만들기 위해서였죠.
1907년까지 일본의 강요로 들어온 돈은 1,300만원으로 당시 대한 제국에서 사용하던 1년 예산에 맞먹는 큰돈이었어요. 지금으로 계산하면 3,300억원 상당의 나랏빚이었어요. 일본에게 크게 빚을 지면서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는 길이 점점 줄어들었어요.
“국채 1,300만 원을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고 말 것이오!”
“맞소이다. 일본에게 진 빚을 못 갚는다면 삼천리 강토는 내 나라 내 민족의 소유가 못 될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정부는 국채를 갚을 능력이 없으니 어찌한단 말입니까?”
“우리 2천만 국민이 3개월 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고 그 담뱃값을 모아 매달 20전씩 거둔다면 국채를 모두 갚을 수 있을 겁니다.”
“좋은 생각입니다. 우리의 고민을 신문에 실어 널리 알립시다.”
대구 광문사라는 회사의 사장 김광제와 부사장 서상돈은 여러 사람을 모아 국채 문제를 논의했어요. 이들은 모든 국민이 담뱃값을 아껴 국채를 갚는 운동을 벌일 것을 제안하였어요. 그리고 이를 대한매일신보에 실어 모든 국민에게 널리 알렸어요.
국채 보상 운동을 의논하는 김광제와 서상돈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일어나자 전국에서 이에 호응하는 많은 단체가 만들어져 운동에 동참하였어요. 대한매일신보로 시작해 황성신문, 제국신문 등 여러 신문사들도 국채 보상 운동 기사를 신문에 실어 적극적으로 홍보하였어요.
사람들은 담배를 끊고 그 돈을 모아 의연금을 냈어요. 부녀자들은 비녀, 반지와 같은 패물을 의연금으로 내놓았죠. 학생뿐만 아니라 기생, 백정, 인력거꾼, 심지어는 거지와 도적도 이 운동에 참여하였어요. 소식은 널리 퍼져 해외 유학생들과 동포들도 해외에서 의연금을 모아 보내왔어요.
대한매일신보 의연금 영수증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1907년에 시작된 운동은 약 3개월 동안 4만여 명의 국민이 참여했어요. 의연금도 많이 모이면서 조만간 국채를 모두 갚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도 점점 커져 갔어요. 국채 보상 운동이 활기를 띄자 일본은 이를 가만히 보고 있지 않았어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운동을 방해하려 했어요. 일본은 운동의 중심에 서서 이를 적극적으로 이끌던 대한매일신보를 먼저 공격했어요.
“베델과 양기탁이 국채 보상금 3만원을 마음대로 사용하였다.”
일본은 거짓 정보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거짓 정보를 이용해 대한매일신보의 사장 베델과 국채 보상 운동에서 큰 역할을 한 양기탁을 구속했어요. 그리고 재판을 이용해 베델을 국외로 추방했어요. 양기탁은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억울하게도 의연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했다는 의심은 사람들 속에 남아 있었어요. 결국 국채 보상 운동은 계속되는 일본의 집요한 방해로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끝나고 말았어요.
비록 일본의 방해로 국채보상운동을 통해 나라빚을 갚을 순 없었지만, 경제 독립을 통해 국권을 지키려했던 국민들의 뜻은 사라지지 않고 3·1 운동과 물산 장려 운동으로 다시 이어졌어요.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국민적 기부운동, 언론캠페인운동, 근대여성운동이라는 점이 높이 평가되어 국채 보상 운동 기록물이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