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과 동래성을 점령한 왜적이 계속 북상하고 있을 때, 경상우수사 원균은 남해현 앞바다에 피신해 있었어요. 원균은 옥포가 전라도와 충청도에까지 이르는 해로의 목줄임을 깨닫고 부하 장수를 이순신에게 보내어 적의 상황을 알리고 구원을 요청하였어요.이순신은 대형 전선인 판옥선 24척, 중형 전선인 협선 15척, 소형 어선인 포작선 46척, 모두 85척으로 구성된 함대를 이끌고 여수의 전라좌수영을 출발하여 당포 앞바다에서 원균의 경상우수영의 함대(판옥선 4척, 협선 2척)와 합류하였어요. 포작선이란 당시 어선인데 수적으로 불리한 조선 수군이 마치 큰 함대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 사용했어요. 일종의 위장전술이었지요.조선 수군의 활약경남 고성 당항포 해전관낙동강 하구의 가덕도로 이동하던 연합 함대는 음력 5월 7일 정오 무렵에 옥포에 정박 중인 일본 수군의 배들을 발견하였어요. 왜선 50여 척은 홍백기를 달고 해안에 흩어져 있었고, 왜적들은 포구로 들어가 노략질을 하고 있었어요. 조선 수군을 발견한 왜적들은 우왕좌왕 어쩔 줄을 모르면서 바삐 배를 타고 노를 저어 바다 한가운데로 나왔죠.이순신은 왜군들이 배에 모두 탑승할 때까지 기다렸어요. 왜선이 바다 가운데로 나오자 그때 함대에 공격 명령을 내렸어요. 조선 수군은 일자진을 펴 일본 수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