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포 바다에서 첫 승리를 거두다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부산진과 동래성을 점령한 왜적이 계속 북상하고 있을 때, 경상우수사 원균은 남해현 앞바다에 피신해 있었어요. 원균은 옥포가 전라도와 충청도에까지 이르는 해로의 목줄임을 깨닫고 부하 장수를 이순신에게 보내어 적의 상황을 알리고 구원을 요청하였어요.
이순신은 대형 전선인 판옥선 24척, 중형 전선인 협선 15척, 소형 어선인 포작선 46척, 모두 85척으로 구성된 함대를 이끌고 여수의 전라좌수영을 출발하여 당포 앞바다에서 원균의 경상우수영의 함대(판옥선 4척, 협선 2척)와 합류하였어요. 포작선이란 당시 어선인데 수적으로 불리한 조선 수군이 마치 큰 함대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 사용했어요. 일종의 위장전술이었지요.
조선 수군의 활약
경남 고성 당항포 해전관
낙동강 하구의 가덕도로 이동하던 연합 함대는 음력 5월 7일 정오 무렵에 옥포에 정박 중인 일본 수군의 배들을 발견하였어요. 왜선 50여 척은 홍백기를 달고 해안에 흩어져 있었고, 왜적들은 포구로 들어가 노략질을 하고 있었어요. 조선 수군을 발견한 왜적들은 우왕좌왕 어쩔 줄을 모르면서 바삐 배를 타고 노를 저어 바다 한가운데로 나왔죠.
이순신은 왜군들이 배에 모두 탑승할 때까지 기다렸어요. 왜선이 바다 가운데로 나오자 그때 함대에 공격 명령을 내렸어요. 조선 수군은 일자진을 펴 일본 수군의 퇴로를 봉쇄하고 총통과 화살로 공격을 했어요. 판옥선에서 쏘아댄 총통에 의해 왜선이 하나둘씩 침몰하기 시작하였어요.
조선 수군의 기습 공격에 전열을 갖추지 못한 일본 수군은 모두 26척이 격침되었고, 몇 척은 조선 수군의 포위망을 뚫고 부산 쪽으로 도망을 쳤어요. 그리고 나머지는 배를 버리고 해안에 상륙하여 산 속으로 도주하였지요. 일본 수군은 4,000여 명이 전사한 반면 조선 수군은 한 명만 부상당한 완벽한 승리였어요.
이순신 함대의 격전지
옥포 해전을 시작으로 이순신과 연합 함대는 경상도의 앞바다를 휘젓고 다니면서 일본 수군을 차례로 격파해 나갔어요. 조선 수군은 한 번도 일본 수군에 지지 않았어요. 사천, 당포, 부산포 등 경상도의 앞 바다에서는 일본 수군의 배를 찾아보기가 어려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