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원

사병을 없애고, 창덕궁을 새로 짓다

컨텐츠 정보

본문

태종은 왕의 힘이 강한 나라를 만들고 싶었어요. 그는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왕족이나 공신들이 개인적으로 거느린 군대인 사병(私兵)을 없앴어요. 사실 가장 많은 사병을 거느렸던 사람은 이방원이었어요. 그 덕분에 두 차례의 왕자의 난에서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사병은 국왕의 권력을 흔들 수 있다는 것을 너무도 잘 알고 있었기에 모든 군사를 국가의 군대로 만들었어요. 왕이 중심이 되어 국가를 지킬 수 있는 군사력을 마련했던 거예요. 그 때문에 왕족이나 권력 있는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킬 가능성도 줄었지요.

한편, 이방원은 개경에서 왕위에 올랐어요. 정종이 1차 왕자의 난이 끝난 이후 수도를 개경으로 옮겼기 때문이죠. 그러나 태종은 왕이 된 지 5년째 되던 해인 1405년에 수도를 다시 한양으로 옮겼어요.


하지만 왕자의 난이 벌어졌던 경복궁으로는 돌아가고 싶지 않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경복궁 동쪽에 새로운 궁궐인 창덕궁을 지었어요. 창덕궁은 자연적인 지형을 그대로 살려서 지은 아름다운 궁궐이에요. 이후 조선의 왕들은 주로 창덕궁에서 머물렀답니다.



1c703048bd0545b4750527bd2ca73748_1746746110_7963.JPG
창덕궁 전경

문화재청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