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1년 고려는 또다시 외적의 침입을 받아요. 이번에 쳐들어 온 외적은 몽골이죠. 고려는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면서까지 몽골군에 맞서 저항했지만 계속되는 몽골군의 공격에 고려는 그만 강화를 맺고 말았어요(1259년). 이때부터 고려는 몽골이 중국 땅에 세운 ‘원’의 간섭을 받게 되요. 원 간섭기에 고려의 왕조는 유지되고 있었지만, 고려 스스로 정할 수 있는 게 별로 없었지요.원은 고려의 동북쪽에 관청(쌍성총관부)을 설치해 직접 다스렸어요. 고려 영토 일부를 원에게 빼앗긴 것이죠. 또 고려 국왕도 원에 의해 결정되었어요. 죽은 후 짓는 왕의 이름도 원에 충성한다는 뜻으로 ‘충’자를 붙여 직접 지어서 주었지요(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등).더 큰 문제는 원이 고려에 수시로 각종 공물을 보내라는 요구였어요. 그때마다 힘없는 고려는 어쩔 수 없이 원의 요구를 들어주어야 했고, 고려의 살림살이는 매우 어려워질 수밖에 없었어요.공물보다 더 슬픈 것은 공녀였어요. 당시 부모들은 자신들의 딸이 공녀로 몽골에 끌려가지 않게 하려고 열 살도 되지 않은 어린 딸을 혼인시키기도 하였지요.한편 고려 안에는 이러한 원의 막강한 힘을 등에 업고 권력을 휘두르는 지배층들이 생겨났어요. 이들을 ‘권문세족’이라 불러요. 권문세족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