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민왕

쌍성총관부를 공격하다

컨텐츠 정보

본문

국내 문제를 해결한 공민왕은 원에게 빼앗긴 고려의 영토를 다시 찾고자 하였어요. 대표적으로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원에게 빼앗겼던 철령 이북의 땅을 되찾았지요.


쌍성총관부는 고려가 원에 맞서 한창 싸우던 1258년에 설치되었어요. 몽골군이 동여진을 공격하다가 지금의 함흥 지방에 이르렀을 때, 그 지역 주민이 고려 정부에 반란을 일으켜 원에 투항하였어요. 이에 원은 이 지역에 쌍성총관부를 두고 직접 통치하였어요. 그렇게 하여 고려를 견제함은 물론 동북면의 여진족까지 통제하는 효과까지 노렸지요.


고려는 그동안 여러 차례 이 지역을 다시 찾고자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어요. 그러다 원의 세력이 약해진 틈을 이용해 공민왕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도록 했어요. 쌍성총관이었던 조소생 등이 강하게 저항하였지만, 그들 내부에 있던 이자춘(이성계의 아버지)의 도움으로 무너뜨릴 수 있었지요. 이어 고려는 여세를 몰아 함경도 내륙 지방까지 진출하였어요.


마침내 1356년 고려는 쌍성총관부를 완전히 차지할 수 있었어요. 원에게 빼앗긴지 무려 100년 만에 영토를 되찾았던 것이죠.



c576e860eaf9f16140605cf6f2c77d1f_1747010908_1666.JPG
공민왕 시기 고려의 영토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