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씨 무신 정권, 강화도로 도읍을 옮기다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그것은 바로 몽골 침입 때문이었지요. 13세기 몽골은 중국 대륙의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어요. 동서로 세력을 넓히며 대제국을 건설했지요. 고려와 몽골은 몽골에 쫓겨 고려에 침입한 거란 때문에 처음 만났어요. 고려는 몽골과 힘을 합쳐 거란을 몰아낸 후 형제 관계를 맺었지요. 이때 몽골은 마치 은혜라도 베푼 듯 이것저것 무리한 요구를 해댔어요.
1225년 고려에 온 몽골 사신이 돌아가는 길에 원인 모를 죽임을 당했어요. 이참에 고려를 제압하려했던 몽골은 기회다 싶어 1231년 그 책임을 묻는다며 고려에 쳐들어왔어요. 이로써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40여 년에 걸친 기나긴 전쟁이 시작되었지요.
몽골군은 단숨에 밀고 내려왔어요. 고려는 온힘을 다해 맞서 싸웠지만 세계 최강의 몽골군을 막기에는 힘이 모자랐어요. 그만 그들이 지나간 곳은 모두 쑥대밭이 되었지요. 고려는 개경이 포위되자 어쩔 수 없이 항복하고 말았어요. 그러자 몽골은 고려에 72명의 감독관을 남겨두고 철수했지요.
몽골군의 모습
얼마 후 몽골이 다시 쳐들어 왔어요. 권력을 잡고 있는 최씨 무신 정권은 몽골이 무리한 요구를 하자,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서 일단 강화도로 도읍을 옮겼어요. 몽골군은 초원에서 말을 타며 생활하던 사람들로 걷는 보병과 말 타는 기병이 대부분이라 바다를 건너오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던 거지요.
강화도에 있는 고려 궁터(인천 강화군)
“그 이야기 들었나? 임금님이랑 높으신 분들은 모두 강화도로 옮겨갔다면서?”
“아니 그럼, 우리 같은 백성들은 어찌하란 말인가?”
“산성이나 섬으로 들어가라고 했다는데, 소식 못 들었나?”
“처음 듣는 이야기라네.”
임금과 높은 관리들은 이미 강화도로 들어갔지만, 일반 백성들은 오도 가도 못하고 육지에 남아 두려움에 떨어야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