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은 죽은 왕이 머무는 마지막 궁궐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조선 시대에는 손꼽히는 좋은 자리, 즉 명당에 최고의 건축가들과 많은 백성들을 동원해 왕릉을 만들었어요. 조선 시대에는 왜 이처럼 왕릉을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을까요?왕이 죽으면 왕위 계승자가 곧바로 왕위를 물려받아요. 새 왕으로서는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첫 시험대가 바로 돌아가신 전 왕의 무덤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전 왕의 무덤, 즉 왕릉을 만드는 데 최대한 노력을 기울였지요.왕릉을 만드는 일은 오랜 시간이 걸리고 많은 사람들이 동원되는 대형 공사였어요. 태조 이성계의 무덤인 건원릉은 4개월 동안 6천여 명이 왕릉을 만드는 일에 매달렸다고 해요. 왕릉을 만드는 일에는 경기도, 충청도, 황해도 등 전국 각지에서 온 군인, 농민, 상인, 승려, 노비 등 다양한 사람들이 동원되었어요. 이들은 이름난 건축가들의 지시에 따라 각자 주어진 일을 했어요. 왕릉을 만드는 데는 비용도 많이 들었어요.세종의 시신을 담은 관을 원래 있던 헌릉 서쪽에서 경기도 여주에 있는 무덤(영릉)으로 옮길 때 상여꾼 1,500여 명이 동원되었다고 해요. 이들은 3교대로 서울에서 여주까지 상여를 메고 가야 했어요. 또한 석공을 비롯한 건축가 150명, 부역에 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