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과학과 건축 기술을 보여주는 경주 첨성대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경주 첨성대는 국보 제31호로 신라 천년의 도읍지 경주에 있는 문화유산이에요. ‘별을 관측하는 천문대’라는 뜻이지요. 신라 궁궐이 있던 월성과 왕릉급 무덤들이 모여 있는 대릉원 사이 벌판에 자리하고 있지요. 동양에 남아 있는 것 중 가장 오래된 천문대라고 하죠.
동궁과 월지와 함께 야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꼽혀요. 사진으로만 보던 경주 첨성대를 직접 본 사람들은 실망한 표정을 짓고, 의구심을 갖기도 하지요.
“생각보다 규모가 작네요. 엄청 클 줄 알았는데…”
“천문대가 산에 있어야지, 왜 이렇게 낮고 평평한 곳에 있어요?”
그런데 경주 첨성대의 상징성과 건축의 비밀을 알게 되면 이런 이야기는 쏙 들어가게 될 거예요. 규모도 작고 특별해 보이지 않는 경주 첨성대가 국보로 지정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 큰 이유는 1,300여 년이 지났는데도 원래 모습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지요. 또 신라의 과학 기술과 문화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삼국유사』와 『세종실록』에 따르면 7세기 중엽 선덕여왕 때 경주 첨성대를 만들었다고 해요. 하지만 구체적으로 왜 쌓았는지, 무엇을 하던 곳인지에 대한 기록이 자세하지 않아 학자마다 경주 첨성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의견이 분분해요.
돌을 잘 다듬어 28단으로 쌓아 올린 높이 10미터가량의 굴뚝 모양의 건축물. 이 문화유산에는 어떤 비밀이 담겨 있을까요? 지금부터 경주 첨성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며 궁금증을 해결해 볼까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