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왕의 즉위식이 거행된 곳은? 근정전

컨텐츠 정보

본문

근정전은 왕의 즉위식, 외국 사신을 맞는 행사, 신하들로부터 인사를 받는 행사 등을 열던 곳이에요. 근정전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세 개의 문을 통과해야 해요.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흥례문, 근정문이지요. 이렇게 세 개의 문을 통과하고 나면 넓은 뜰이 보여요. 뜰은 울퉁불퉁한 얇은 돌인 박석이 깔려 있지요. 그런데 모양을 잘 들여다보면 네모반듯하지 않고 울퉁불퉁해요.


넓은 뜰 멀리로 보이는 2층 건물이 바로 근정전이에요. 높고 넓은 단인 월대 위에 지어진 건물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큰 규모라고 해요. 이곳에서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가장 대표적인 일이 왕의 즉위식이지요. 새로운 왕은 가마를 타고 근정전 뜰을 지나 의자(용상)에 앉아 새로운 왕이 되었음을 선포했지요.수많은 신하들은 이마에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절을 하면서 ‘천세, 천세, 천천세’를 외쳤어요. 왕이 건강하게 오래 살면서 나라를 잘 다스려 주기를 기원한 거지요.


근정전에는 여러 가지 동물들도 자리하고 있어요. 근정전 2층 월대 난간에는 주작, 현무, 청룡, 백호 등의 신령스러운 동물을 세워두었지요. 동서남북을 관장하는 신성한 동물들이 왕을 지키도록 한 거예요. 또 쥐, 소, 양, 뱀 등 열두 띠 동물을 한 쌍씩 세워놓았어요. 시간과 방위를 상징하는 동물을 세워 왕과 근정전을 지키려 했던 거예요.

그런데 열두 띠 동물 중 보이지 않는 동물이 3가지 있어요. 바로 용, 개, 돼지랍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임금이 용을 상징하니 따로 용을 세워두지 않았던 것이지요. 개와 돼지는 좋은 기운을 주는 복이 있는 동물이 아니라고 여겼기에 세우지 않았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어요.


근정전 지붕을 올려다보세요. 지붕 추녀마루 끝에 여러 동물들이 세워져 있지요. 이들을 잡상이라고 해요. 이 잡상을 ‘어처구니’라고 부르는데 경복궁 하늘을 지키고 있지요. 우리가 사용하는 ‘어처구니가 없다.’는 말은 건물을 지어놓고 잡상을 깜박 잊어 세우지 않았을 때 ‘어처구니가 없네.’ 라고 하는 데서 유래된 말이에요.



520266082d62b8305032e51f89e753ea_1746788107_0149.JPG
근정전 지붕의 잡상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