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 대왕릉비와 충주 고구려비

충주 고구려비의 발견과 비문 내용

컨텐츠 정보

본문

1979년 4월 8일, 당시 충청북도 중원군의 입석(立石)마을 입구 선돌에서 글씨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학자들이 모였어요. 마을을 지키는 신성한 돌로 여겨진 선돌은 1972년에 일어난 대홍수 때 쓰러졌었는데, 이 마을 청년들이 다시 세워 마을의 상징으로 삼고 있었어요. 이후 향토문화연구회 사람들이 이 선돌을 살펴보다가 글자를 발견하게 되었고, 심상치 않은 느낌이 들어 역사학자들에게 연락하게 된 것이지요.


연락을 받고 부리나케 달려온 역사학자들이 돌에 낀 이끼를 걷어내고 탁본을 하였어요. 그러자 첫머리에서 ‘고려태왕(高麗太王)’이란 글자가 선명히 드러났지요. ‘고려(高麗)’는 고구려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지요.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던 선돌이 갑자기 한반도 유일의 고구려비로 탈바꿈하는 순간이었어요.


이 비석은 충청북도 중원군에서 발견된 고구려비라는 의미로 ‘중원고구려비’로 이름 붙여졌어요. 이후 중원군이 충주시와 합쳐지면서 비석의 명칭이 ‘충주 고구려비’로 바뀌게 되었지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충주 고구려비에는 비의 네 면에 한자로 총 칠백여 자가 새겨져 있어요. 그러나 비, 바람 등 세월의 흔적에 의해 많은 글자가 닳아서 지금은 이백여 자만 읽을 수 있답니다. 그 내용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아요.

고구려 대왕이 신라 매금(신라 왕)을 만나 영원토록 친선을 맺기 위해 중원(충주)에 왔으나 … 동이(동쪽의 오랑캐) 매금에게 옷을 내려 주었다.


- 충주 고구려비 -


충주 고구려비에는 신라의 왕을 ‘동이(동쪽 오랑캐) 매금(마립간)’이라 표현하고 있어요. 아울러 신라의 왕과 신하를 고구려로 불러들여 관리들이 입는 옷을 나누어 준 사실도 기록되어 있어요. 이를 통해 5세기 장수왕 때 고구려가 적극적인 남진 정책을 실시하여 백제를 밀어내고 한강 유역을 장악하였음을 알 수 있지요.


또한 고구려가 신라의 왕과 신하를 고구려로 불러들일 정도로 신라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음도 알 수 있어요. 충주 고구려비를 통해 우리는 고구려가 주변국을 거느리며 동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성장했고, 고구려 중심의 천하관을 과시하였음을 엿볼 수 있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