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가 된 고려청자
컨텐츠 정보
- 24 조회
-
목록
본문
전형필이 구입한 자기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청자예요. 이름은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랍니다. 이름이 좀 어렵죠? 이름 중 ‘운학문’은 구름과 학이 새겨져 있어서 붙여진 것이에요. 이 청자에는 학이 무려 69마리나 새겨져 있어요.
‘상감’은 청자를 만들 때 흙으로 자기 모양을 만든 후 무늬를 넣을 부분을 파내고 흰색이나 붉은색 흙을 파낸 곳에 메꿔 넣고 유약을 발라서 구워내는 것이에요. ‘상감’ 기법은 청자를 만들 때만 사용한 것은 아니에요. 아주 오래전부터 나무나 금속 제품을 만들 때 동양과 서양에서 두루 사용한 방법이죠. 나무와 금속에 무늬를 새겨서 파내요. 그리고 파낸 곳에 금과 은 또는 뼈, 보석 등을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 넣는 것이지요.
전형필은 이 청자를 마에다라는 일본인에게서 샀어요. 그런데 마에다는 어떻게 이 고려청자를 가지고 있었을까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은 강화도의 한 무덤에 있던 것이었다고 해요. 도굴꾼이 무덤에 있는 청자를 몰래 꺼내서 팔았던 것이죠. 일제 강점기에는 이렇듯 무덤에 있는 유물들이 도굴되는 일이 흔히 있었답니다. 당시 일본 사람들이 청자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아주 좋아했기 때문이지요.
전형필이 지켜낸 덕분에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은 광복이 된 후인 1962년 국보 제68호로 지정되었어요. 국보는 ‘나라의 보물’이란 뜻이에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간송미술관
그런데 고려 시대 사람들이 처음부터 ‘상감청자’를 만든 것은 아니에요. 고려 초기에는 무늬가 거의 없고 색깔도 조금은 어두운 청자가 만들어져요. 그러다가 점차 청자 만드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12세기 전반기에는 수준 높은 비취색(비색)의 고려청자가 만들어지고, 12세기 중엽 무렵에는 ‘상감청자’가 만들어진답니다.
자, 지금부터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다양한 청자를 살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