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기록물

조선이 일본에 보낸 사절단, 통신사

컨텐츠 정보

본문

일본의 요청에 조선은 사절단을 보냈어요. 이 사절단이 바로 통신사예요. 통신사는 ‘두 나라 간의 믿음을 나누는 사절단’이라는 뜻이지요. 1404년(태종 4) 조선은 일본에 처음으로 통신사를 파견했어요. 하지만 임진왜란으로 중단되었지요.


임진왜란을 겪은 조선은 전 국토가 황폐해졌어요. 백성들의 생활도 말이 아니었어요. 한편, 일본에서는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권을 잡았어요. 그는 정권을 잡고 나자 조선에 통신사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했던 거예요.


통신사는 시기마다 파견 목적이 달랐어요. 사실 통신사는 1404년 태종 때 처음 일본에 파견되었고, 임진왜란 이전까지 지속되고 있었어요. 임진왜란 이전에는 주로 왜구들의 노략질을 단속하기 위해 통신사를 일본에 보냈어요.


그러나 임진왜란을 겪은 이후에는 그 목적이 달라졌어요. 왜란 때 잡혀간 우리 포로를 데려오고, 전쟁을 막으려는 것이 목적이었죠. 하지만 믿음을 갖고 교류하는 ‘성신교린’은 왜란 이전이나 이후 모두 통신사들의 주요 정신이었어요.

통신사는 한양을 출발해 부산, 쓰시마,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 등을 거쳐 에도까지 먼 길을 이동했어요. 왕복하는 데 약 10개월이 걸렸다고 해요. 임진왜란 이후 1607년(선조 40)부터 1811년(순조 11)까지 12차례 통신사가 일본으로 갔어요.


통신사는 정사, 부사, 종사관을 비롯해 역관(통역 담당), 제술관(문서 담당), 화원(그림 담당), 마상재(기마 곡예 담당) 등 해당 분야의 최고 재능을 가진 문인과 예술인으로 구성되었어요. 약 400~500명이나 되는 대규모 사절단이었지요. 이들은 왕이 내린 국서를 일본에 전하고, 문화적 교류를 했지요.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33386_7966.JPG
통신사의 구성원




임진왜란 이후 통신사가 보내진 200여 년 동안 조선과 일본 두 나라의 관계는 평화로웠어요. 더불어 동아시아 지역도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할 수 있었지요. 그래서 통신사를 평화 사절단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통신사가 남긴 다양한 기록물들은 그들이 어떤 활동을 펼쳤는지 전해주는 중요한 유산이에요.


2017년 한국과 일본 두 나라는 통신사가 남긴 외교문서, 여정에 관한 기록, 그림 등 다양한 기록물 총 111건 333점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공동 등재시켰어요.


매년 통신사의 뜻을 기리며 한국과 일본 두 나라에서는 통신사 축제가 열리기도 해요. 지금부터 한일 교류를 넘어 동아시아 평화를 위해 노력한 통신사가 남긴 행적들을 살펴보아요. 또 믿음과 이해를 바탕으로 활발하게 교류한 통신사 정신을 어떻게 이어나갈 수 있을지 생각해 보아요.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33449_5275.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