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은 최치원의 다른 이름이에요. 고운이라는 또 다른 이름도 있었지요. 그는 신라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학문을 즐겨했는데, ‘신동’ 소리를 들을 정도로 똑똑했어요.그런 최치원을 볼 때마다 아버지 견일의 마음은 편치 않았어요. 신라에서는 제 능력을 발휘하기 힘들 테니 말이죠. 왜냐구요? 바로 골품제 때문이지요.골품제는 신라의 신분제로 맨 위의 진골부터 6두품, 5두품, 4두품 등으로 신분이 나뉘어 있었어요. 그리고 골품에 따라 오를 수 있는 관직이 정해져 있었어요. 뿐만 아니라 사는 집의 크기, 입을 수 있는 옷, 사용할 수 있는 그릇, 수레의 재료나 소와 말의 장식까지 모두 정해져 있었어요. 그러다보니 진골 귀족들이 높은 관직을 다 차지하고 나랏일을 좌지우지했지요.최치원의 집안은 진골 아래인 6두품 신분이었어요. 최치원의 아버지 견일은 아들이 신라에서는 제대로 성공할 수 없으니 다른 방법을 찾았어요. 최치원을 당으로 유학 보내기로 마음먹었지요. 당의 빈공과에 합격하면 훗날 신라에서 좀 더 빠르게 출세할 수 있을 테니까요. 빈공과는 당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시험이에요. 신라 유학생들을 비롯해 많은 외국인들이 빈공과에 급제해 당에서 벼슬을 하기도 했지요.신라의 골품제“열심히 공부해 10년 안에 빈공과에 급제해야 한다. 만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