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조선의 두 번째 궁궐을 짓다
컨텐츠 정보
- 4 조회
-
목록
본문
조선이 건국된 후 태조 이성계는 한양을 새 도읍으로 결정했었지요. 하지만 조선의 제2대 왕 정종은 다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으로 돌아갔어요. 다시 한양으로 도읍을 옮겨온 때는 제3대 왕 태종이 왕위에 오른 지 5년째 되던 해(1405년)였어요.
태종이 한양으로 돌아와서 새로 지은 궁궐은 창덕궁이에요. 태종은 경복궁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던 것 같아요.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궁궐을 지었거든요. 경복궁은 자신과 정치적 입장이 달랐던 정도전이 세운 궁궐이고, 제1차 왕자의 난(1398년) 때 자신의 배다른 동생인 방석과 방번이 죽은 곳이기 때문인 것 같아요.
창덕궁의 주요 건물이 완성된 후 태종은 이곳에 머물면서 금천교라는 돌다리를 만들고 돈화문도 세웠어요. 그리고 이곳에 주로 머물면서 경복궁과 창덕궁 두 개의 궁궐을 동시에 운영하는 양궐체제가 성립되었고, 이런 모습은 후대 왕들에게도 이어졌어요.
창덕궁은 경복궁과 다른 점이 있었어요. 바로 건물의 배치에요. 경복궁은 정문인 광화문에서 주요 건물인 근정전, 사정전 등이 남에서 북으로 차례로 배치되었어요. 이에 비해 창덕궁은 인정전, 선정전 등 주요 건물이 정문에서 약간 동쪽으로 들어가 배치되어 있어요. 자연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건물을 지었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태종 때 지어진 창덕궁은 지금의 모습과 조금 달랐어요. 창덕궁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넓은 후원인데 당시는 지금처럼 넓지 않았어요.
창덕궁의 후원이 지금의 면적과 같아진 것은 세조 임금 때에요. 세조는 경복궁에서 살다가 얼마 후 창덕궁으로 옮겼어요. 그 후 선조 임금 때에는 창덕궁이 폐허가 되었어요. 임진왜란을 일으킨 일본군이 경복궁을 비롯하여 한양의 궁궐을 모두 불태웠기 때문이에요.
임진왜란이 끝난 후 광해군은 궁궐을 다시 세웠어요. 이때 경복궁은 복구되지 못하고 창덕궁만 다시 건설했어요. 이후 창덕궁은 경복궁을 대신해서 조선의 대표 궁궐이 되었어요. 광해군 이후의 왕들도 창덕궁에서 살았지요. 그래서 부속 건물들이 비교적 원형 그대로 남아있어 조선 시대 궁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요. 한편 창덕궁 동편에는 창경궁도 지어져요. 이 두 궁궐을 합쳐서 ‘동궐’이라고 불렀어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동궐도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