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송국리 유적

돌로 무덤을 만들다

컨텐츠 정보

본문

만약 고대 사람들의 무덤이 지금까지 전해지지 못했다면 어땠을까요? 아마도 삼국 시대 이전 우리 역사를 거의 알지 못했을지 몰라요. 삼국 시대 이전의 역사를 알려주는 기록은 매우 적기 때문이지요. 이 땅에 살았던 고대의 사람들도 지금 우리처럼 기뻐하고 사랑하며 또 갈등을 빚고 슬퍼하며 살았을 텐데 말이지요.


옛날의 무덤은 묻히는 사람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쓰던 물건들과 무덤에 넣으려고 만든 특별한 물건들을 함께 묻었어요. 그래서 우리는 무덤 속 유물들을 통해 무덤의 주인공과 그 사람이 살았던 시대의 모습을 함께 상상해 볼 수 있어요.


고대의 무덤은 당시의 역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보물 창고라 할 수 있지요. 부여 송국리 일대의 낮은 산에서 고대의 무덤이 발견되었어요. 바로 돌을 상자처럼 짜서 관을 만든 돌널무덤이에요.


돌널무덤은 고인돌과 같은 시기에 유행한 청동기 시대의 무덤이에요. 땅을 판 뒤 두께가 5센티미터 정도인 얇은 판돌로 긴 네모꼴 상자 모양을 만들고, 그 위에 역시 두께 5센티미터 정도 되는 판돌을 덮은 형태이지요.




05d63b3ad274358b2fec080983130ffd_1746227971_4401.JPG
돌널 무덤

문화재청




돌널무덤이 있는 곳에는 고인돌도 있는 경우가 많았다고 해요. 그러나 돌널무덤은 고인돌에 비해 그 수가 적고, 무덤 안에 껴묻은 물건으로는 청동기보다 돌검이나 돌화살촉이 많았어요.


그런데 부여 송국리에서는 부근에 고인돌이 없고 돌널무덤만 만들어졌어요. 그리고 이 무덤 안에서 비파형 동검 등의 청동기가 껴묻거리로 발견되었지요. 이것은 이 지역에 전에 없던 정치적인 지배자가 등장했다는 사실을 뜻해요. 부여 송국리에서는 비파형 청동검이 출토되어 일찍부터 우리 땅에서도 청동기 문화가 발달했음을 알 수 있게 되었어요.

유적지는 당시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들을 담고 있어요. 그래서 그곳에 가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분위기를 느낄 수 있지요. 부여 송국리 마을에 가면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잘 알 수 있어요. 이번 우리 학교 현장 체험 학습을 부여 송국리 유적지로 가 보면 어떨까요?




05d63b3ad274358b2fec080983130ffd_1746228025_6584.JPG
부여 송국리 유적 출토 유물

비파형 청동검뿐 아니라 간돌검, 옥으로 만든 장신구가 나왔다.

문화재청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