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 귀족들의 수탈과 왜구의 약탈로 백성들의 삶이 피폐해져 가고 있을 무렵 나라를 바로 세우려는 새로운 무인 세력과 유학자들이 나타났어요. 대표적으로 이성계, 정몽주, 정도전 등이 있지요.이들은 왜구를 물리치며 백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제도를 바꿔가며 고려를 개혁하고자 했어요. 불교 대신 유학을 나라의 중심으로 삼고자 했던 이들은 화려한 그릇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쓰일 수 있는 검소하고 실용적인 그릇을 원했어요. 이때 많이 만들어진 것이 분청사기에요.청자 상감어룡문 매병(조선 전기),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매병(조선 전기), 분청사기 인화문 대접(조선 전기)국립중앙박물관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후 나라가 점점 안정을 찾아가면서 전국에 더 많은 가마들이 만들어졌어요. 자연스럽게 도자기 제작도 활기를 띠게 되었지요.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분청사기가 대량으로 만들어졌어요. 분청사기는 고려청자의 제작 방식을 바탕으로 조선의 새로운 문양과 기법이 적용되었지요.분청사기를 만들면서 도자기 기술도 계속 발전해 갔어요. 기술 발전과 함께 백자가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어요. 특히 왕실에서 사용하던 은그릇을 백자로 대신하게 되었는데요. 일부 관청에서는 직접 가마를 운영했어요. 이 가마를 관요라고 부르는데, 경기도 광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