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오동 전투·청산리 대첩 유적

독립군, 간도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우다

컨텐츠 정보

본문

청일전쟁,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강한 무력을 앞세워 대한 제국을 압박하였어요. 의병과 애국지사들은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일제에 맞서 싸웠으나 힘이 모자랐고, 결국 1910년 나라의 주권마저 일제에 빼앗기고 말았어요.


애국 지사들은 나라를 되찾기 위해 일제에 맞서 싸웠어요. 특히 일제의 힘이 미치지 않는 중국 만주와 러시아의 연해주에서 독립운동 기지를 만들고, 독립군이 되어 싸웠지요. 중국과 우리나라의 경계 지역인 간도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어 독립운동 기지를 만들기에 알맞은 곳이었어요.


독립운동 기지를 세운 애국지사들은 일본군과 맞서 싸우기 위해 많이 노력했어요. 만주 간도에 세운 여러 학교 중 대표적인 것이 신흥무관학교였어요. 이 학교는 군사를 지휘할 수 있는 무관들을 기르기 위해 세운 학교였지요. 1911년부터 1920년까지 신흥무관학교에서만 약 3,000명이 넘는 무관이 졸업을 했어요. 졸업한 무관들은 독립군의 중심이 되어 일제에 맞서 무장 독립 투쟁을 펼쳤어요.


이렇게 힘을 기른 독립군은 주로 두만강과 압록강 주변 또는 강 건너 우리나라에 들어와 일제 경찰이나 군대와 전투를 벌였어요.

이전의 의병 부대와 달리 군사 훈련도 잘 되어 있고, 최신 소총으로 무장을 하고 있어 일본군에 많은 피해를 주었지요. 한반도에서 모든 의병을 없앴다고 믿고 있던 일제는 독립군의 활약에 깜짝 놀랐어요.



c888d33515da063a792bccac114bb583_1746491306_7946.JPG
독립군(북로 군정서군)의 1인당 기본 무장




독립군은 일제에게 눈에 가시와 같은 존재였어요. 일제는 독립군이 우리나라를 지배하는데 큰 걸림돌이라 판단했어요. 그래서 중국의 허락도 없이 불법으로 국경을 넘어 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을 추격했어요. 그 중 하나가 홍범도 장군이 이끌던 대한 독립군이었어요.

대한 독립군은 두만강을 건너 일제 국경수비대를 공격해 큰 전과를 올렸어요. 크게 패한 일본군은 대규모 부대를 모아 대한 독립군을 쫓아 만주로 넘어왔어요. 독립군 부대는 깊은 산에 의지해 몰래 숨어있다 지나가는 일본군을 공격하고 사라지는 작전을 사용했어요. 대한 독립군은 공격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며 일본군을 봉오동 골짜기로 유인하였어요.


봉오동 골짜기에는 대한 독립군 본대가 일본군을 기다리고 있었어요. 일본군 주력 부대가 독립군의 포위망에 들어오자 대한 독립군은 일제히 총을 쏘기 시작했지요. 동서북 삼면에서 쏘아대는 독립군의 총에 일본군은 갈팡질팡하며 하나둘씩 쓰러지기 시작했어요.


봉오동에서 157명이 죽고, 200여 명이 부상당한 일본군과 달리 독립군은 4명 만이 목숨을 잃었어요. 부상자도 많지 않았지요. 독립군의 완벽한 승리였어요.


봉오동에서 크게 패한 일본군은 더 많은 부대를 동원해 독립군 추격에 나섰어요. 일본군의 대규모 추격을 예상한 여러 독립군 부대도 백두산 쪽으로 이동하며 연합 작전을 준비했어요. 김좌진 장군의 북로 군정서군을 중심으로 한 독립군 연합 부대와 대규모 일본군 부대가 만난 곳은 바로 청산리였어요.



c888d33515da063a792bccac114bb583_1746491473_9101.JPG
독립군의 활약




청산리 역시 봉오동과 마찬가지로 높은 산과 골짜기로 이루어진 곳이었어요. 독립군 연합 부대가 백두산 쪽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고 있던 일본군은 청산리에서 독립군의 앞뒤를 가로막아 포위하려는 작전을 펼쳤어요. 반면에 독립군은 가파른 절벽으로 둘러싸인 골짜기로 일본군을 유인하여 기습 공격하는 작전을 펼쳤어요.


청산리 일대 골짜기에서 5박 6일 동안 독립군과 일본군 사이에 10차례의 큰 전투가 벌어졌어요. 병사 수가 적은 독립군은 쫓아오는 일본군의 움직임을 미리 예상해 유리한 지형을 차지해 공격하였어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펴낸 독립신문에는 청산리 전투의 결과 독립군은 100여 명이 전사하였고, 독립군의 유인 전술에 걸린 일본군은 1,200여 명이 죽었다고 보도하고 있어요. 다시 한 번 독립군이 커다란 승리를 거둔 것이에요.


청산리 일대에서의 전투는 독립군의 승리로 끝났어요. 하지만 일제의 무력이 만주지역에 더욱 강해지면서 중국 사람들마저 독립군을 도와줄 수 없는 상황이 되었어요. 결국 독립군들은 러시아의 지원을 얻기 위해 만주를 떠나 연해주로 근거지를 옮겨야만 했어요. 독립군이 떠나면서 만주에서의 독립 전쟁은 잠시 멈춰지고 말았어요.



c888d33515da063a792bccac114bb583_1746491525_4801.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