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암사동 유적

빗살무늬토기를 발명하다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 암사동 유적에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유물이 나왔어요. 끝이 뾰족한 진흙으로 만든 그릇이었어요. 빗의 가느다란 살 같은 무늬가 새겨 있어 이 토기를 ‘빗살무늬 토기’라 부르게 되었어요.



774b062d78473ed79f697830ce232d48_1746180562_9245.JPG
빗살무늬 토기

국립중앙박물관




토기는 흙으로 빚은 다음 불에 구워 만든 그릇을 말해요. 토기는 신석기 사람들이 음식을 저장하거나 음식을 조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해줘요.

신석기 시대에는 먹을거리가 늘어나면서 이것을 보관할 그릇이 필요해졌어요. 토기를 발명함으로써 식량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식을 끓여 먹을 수도 있게 되었어요.


“그런데 빗살무늬 토기는 지금의 그릇들과는 좀 다르게 생겼어요. 그릇 밑이 뾰족하게 생겨 바닥에 세우기도 어렵겠는데요?”




774b062d78473ed79f697830ce232d48_1746180607_3603.JPG
빗살무늬 토기를 사용하는 모습




밑이 뾰족한 것은 그릇을 모래나 땅에 박아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어요.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주로 살았던 강가의 흙은 부드러워서 토기를 땅에 쉽게 꽂아 사용할 수 있었어요. 또 움집 안의 바닥 구멍을 잘 살펴보세요. 빗살무늬 토기를 이 구멍자리에 얹어 보면 딱 들어맞아 세울 수 있어요.


신석기 시대에는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먹을거리가 늘어나고 점차 농사를 짓게 되면서 더 이상 떠돌아다닐 필요 없이 한 곳에 머물러 살 수 있게 되었어요. 특히 사람들은 농사를 지으면서 먹을 것을 직접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어요. 더구나 남는 식량들을 토기에 저장할 수 있게 되어 구석기 시대와는 전혀 다른 생활을 했어요.


빗살무늬 토기는 농사와 식량 저장, 그리고 정착 생활과 같은 생활모습을 엿볼 수 있는 신석기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유물이랍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