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된 안용복의 싸움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1696년(숙종 22년) 봄 안용복은 울릉도로 다시 고기잡이를 하러 갔어요. 예상대로 또 일본 고기잡이 배들이 있는 거였어요.
“어이~ 그대들은 잘못을 뉘우치지 않고 왜 조선의 바다를 침범하여 불법으로 고기잡이를 하는가?”
안용복은 큰 소리로 호통을 쳤어요. 안용복의 소리를 들은 일본 어선들은 도망가기 시작했어요. 안용복은 도망가는 그들을 독도까지 쫓아가 조선의 영토를 침범한 사실을 항의하였지요. 이번에는 아예 울릉도를 감독하는 관리라 스스로 일컫고, 일본 돗토리현에 가서 수령에게 항의하고 사과를 받고 돌아왔어요. 이때 안용복은 조선팔도지도를 가지고 가 보여주면서 울릉도와 독도가 강원도에 속한 섬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확인을 받아오기까지 하였어요.
이때 이미 일본 막부에서는 울릉도로 가는 것을 금지하는 명령을 해 놓았어요.
“앞으로 울릉도로 일본인이 가서 고기잡이 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원록구병자년 조선주착안 일권지각서
안용복이 두 번째로 일본에 갔을 때 일본 오키 섬 관리가 안용복 일행을 심문한 조사기록 문서에요. 이 문서에 울릉도와 독도가 강원도에 속해 있다고 적혀 있지요.
동북아역사재단
조선시대 안용복이 없었다면 우리 땅인 울릉도나 독도가 어떻게 되었을까요? 안용복이 비록 어부 출신이지만 정확한 지식과 근거를 갖고 일본에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 땅임을 주장하였어요. 안용복의 용기와 기개가 우리의 영토인 울릉도와 독도를 지켜낸 것이지요.
울릉도와 독도의 위치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