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여러 일을 했어요. 그 대표적인 것이 훈민정음의 창제이지요. 우리 문자가 없어 백성들은 억울하고 불편한 일들이 많았어요. 그래서 세종은 우리 글을 만들었지요.훈민정음의 창제는 중국과 다른 우리의 독자적인 문자를 만들고 싶은 세종의 마음이 반영된 것이죠. 이런 마음은『칠정산』을 편찬할 때도 있었어요. 세종은 우리나라의 지리에 바탕을 둔 역법을 만들려고 노력했어요. 『농사직설』도 마찬가지예요.세종은 우리나라의 농토, 기후 등이 중국과 달라 기존의 농업책으로는 제대로 농사를 지을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우리나라의 농업 환경에 맞는 농법을 『농사직설』에 간략하게 정리해서 백성들에게 알려주었어요.『농사직설』을 편찬한 또 다른 이유는 농사가 잘되는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의 농업기술을 북쪽 지방에 알려주기 위함이었어요. 북쪽 지방은 농업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었죠.『농사직설』의 본문은 모두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가장 먼저 농사를 지을 때 중요한 종자(씨앗)를 고르고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있어요. 그 뒤에는 마, 벼, 기장과 조, 파, 콩, 팥, 보리, 밀, 깨, 메밀 등을 재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어요.그렇다면 『삼강행실도』를 편찬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기에는 직접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