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혁명이 일어나다
컨텐츠 정보
- 6 조회
-
목록
본문
1960년 3월 15일 국민들의 투표로 대통령과 부통령을 뽑는 선거가 있었어요.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이 소속된 자유당은 이승만과 이기붕을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로 내세웠지요. 당시 야당인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였던 조병옥이 갑자기 죽자 이승만의 대통령 당선은 크게 어렵지 않은 것처럼 보였어요.
하지만 자유당은 대통령뿐 아니라 부통령도 자신들의 후보를 당선시키려고 했어요. 80세가 넘은 이승만이 혹시 건강에 이상이 생기면 부통령이 대통령을 대신하여 대통령 업무를 보아야 했기 때문이에요.
당시 자유당은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부정을 저질렀어요. 미리 투표하기, 3인조 또는 5인조 짝을 지어 공개 투표하기, 개표하면서 야당을 찍은 투표지에 인주를 묻혀 무효로 만들기 등 갖가지 방법을 동원했지요.
3월 15일의 선거에서도 공공연히 불법 부정선거가 이루어졌어요, 이날 오후 마산과 광주에서는 학생, 시민들이 선거의 무효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어요. 시위는 전국으로 퍼져나갔어요 그런데 3월 15일의 시위에서 마산의 고등학생이었던 김주열이 최루탄에 맞아 숨지는 일이 벌어졌어요.
경찰은 이를 감추기 위해 마산 앞바다에 그의 시신을 몰래 빠뜨렸지요. 4월 11일 한 쪽 눈에 최루탄이 박힌 김주열의 처참한 시신이 떠올랐고, 시민들은 크게 분노했지요.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학생들은 물론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이승만 정권의 부정 선거를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어요. 바로 4·19 혁명이 일어난 거예요.
이승만 독재 정권은 잘못을 인정하기는커녕 경찰은 물론 정치깡패들까지 동원해 시위를 진압했어요. 심지어 시민들을 향해 총을 쏘아댔지요. 그러던 중 초등학생까지 총에 맞아 죽는 일이 벌어졌어요. 시민들의 분노는 하늘을 찌를 듯 했어요. 대학 교수단이 선언문을 발표하고 시위에 참여하였고, 초등학생들도 경찰의 무자비한 공격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어요.
대학 교수단 시위 모습
국민들의 거센 저항에 직면한 이승만은 결국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했어요. 학생들과 시민들이 힘을 합쳐서 이승만 독재를 무너뜨린 것이지요. 학생들과 시민의 힘으로 독재 정치를 끝내려고 했던 4·19 혁명은 이후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에 기초가 되었어요.
지금부터 4·19 혁명 유적지를 따라 가며 당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또한 그곳에서 수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목 놓아 외쳤던 민주주의 정신을 다시 한 번 되새겨 보아요.